🚩 1. 자바의 연산자
📌 1-1. 산술
int a = 10 - 3; // 7
int b = 10 + 3; // 13
int c = 10 * 3; // 30
int d = 10 / 3; // 3 타입이 int이기 때문에 소숫점자리의 값은 버려진다.
int e = 10 % 3; // 1
📌 1-2. 부호
// 각각의 변수에 양수 혹은 음수를 나타낼 때
int a = + 10; // 10 사실상 여기에선 +부호가 생략되어도 된다.
int b = - 10; // -10
// 이미 할당된 변수의 양수 혹은 음수 값을 바꿀 때
int a = 10;
a = -a; // a의 값은 이제 -10
int b = -20;
b = -b; // b의 값은 이제 20
📌 1-3. 문자열
String a = "안녕";
String b = "하세요.";
System.out.println(a+b); // "안녕하세요."
System.out.println("저는" + " 죠" + "입니다."); // "저는 죠입니다."
📌 1-4. 대입
int a = 5; // a에 5를 대입
int b = 5;
b += 3; // b의 값은 이제 8
int c = 5;
c -= 3; // c의 값은 이제 2
int d = 5;
d *= 3; // d의 값은 이제 15
int e = 15;
e /= 3; // e의 값은 이제 5
int f = 5;
f %= 3; // f의 값은 이제 2 (나머지)
📌 1-5. 증감
int a = 5;
a++; // a의 값은 이제 6
a--; // a의 값은 다시 5
📌 1-6. 비교
int a = 5;
int b = 10;
boolean res = a == b; // false
res = a != b; // true
res = a < b; // true
res = a > b; // false
res = a <= b; // true
res = a >= b; // false
📌 1-7. 논리
int a = 10, b = 5, c = 20;
// && (AND) 연산자
result = (a > b) && (b < c); // 결과는 true
// (a > b)는 참이고, (b < c)도 참이므로 두 조건 모두 참이기 때문에 true를 반환
result = (a < b) && (b < c); // 결과는 false
// (a < b)는 거짓이므로, 전체 결과는 false를 반환
// || (OR) 연산자
result = (a > b) || (b > c); // 결과는 true
// (a > b)는 참이고, (b > c)는 거짓이지만, 둘 중 하나라도 참이면 true를 반환
result = (a < b) || (b > c); // 결과는 false
// (a < b)와 (b > c) 둘 다 거짓이므로 false를 반환
// ! (NOT) 연산자
result = !(a > b); // 결과는 false
// (a > b)는 참이지만, NOT 연산자 때문에 그 결과가 반전되어 false를 반환
result = !(a < b); // 결과는 true
// (a < b)는 거짓이지만, NOT 연산자 때문에 그 결과가 반전되어 true를 반환
📌 1-8. 조건
int a = 5;
int b = 10;
int max = (a > b) ? a : b; // max의 값은 1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