🚩1. 들어가며...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처음으로 GitHub Actions와 AWS를 활용하여 지속적 통합/배포를 위한 CI/CD Pipeline을 구축했다. 그러던 와중 어떤 순서로 빌드 및 테스트와 배포까지 진행되는지 궁금해져 동작 과정을 하나 하나 정리하려는 목적으로 포스팅한다. 🚩2. CI/CD Pipeline 동작 과정 📌 2-1. 동작 과정 살펴보기 (괄호 안은 동작 장소) 📍 1. 코드 푸시 (로컬 개발 환경 → GitHub) 개발자가 main 브랜치에 코드를 push한다. 이 과정은 로컬 개발 환경에서 수행되며, 변경사항이 GitHub의 원격 저장소로 전송한다. 📍 2. GitHub Actions 워크플로우 활성화 (GitHub) main 브랜치에 코드가 푸시되면, GitHub A..
🚩 1. 들어가며... 개인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한 번도 해보지 않았던 배포와 관련 간단한 인프라를 구축해보았다. 배포를 위한 EC2 인스턴스 생성 후 EC2에 Redis Server 설치와 가비아에서 구입한 도메인 연결, 그리고 80포트 요청 8080포트로 포워딩하는 과정을 2편에 나눠 각종 에러에 대한 해결법을 기록할 겸 포스팅할 예정인데, 먼저 1편은 EC2 인스턴스 생성과 빌드 그리고 Redis설치하는 것을 포스팅할 것이다. 🚩 2. AWS EC2(Elastic Compute Cloud) 생성과 접속 아마존 웹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기반 컴퓨팅 서비스 사용자의 필요에 맞게 가상 서버를 생성/관리(확장, 축소) 가능 사용자가 선택한 가상 머신 유형과 스토리지 유형에 따라 비용 부과 📌 2-1...
🚩 1. 이번 달의 주요 사건 📌 1-1. SQLD 시험 응시 지난 10월 말, SQL공부겸 응시했던 SQLD 자격 시험을 드디어 치뤘다. 1과목 모델링과 2과목 SQL부분이 있었는데, 1과목은 좋은 점수가 기대된다. 하지만 2과목은 내가 문제를 괜히 한 번 더 꼬아 생각해버리는 바람에 틀린 문제도 있었다. 학창시절 때부터 가지고 있었던 버릇이다. 내가 아는 내용으로는 이게 맞다고 생각하면서도 혹시 내가 모르는 부분이 있나? 하면서 또 의심하는 버릇 때문인 것 같다. 좋게 생각하면 깊게 파고들어 스스로 학습하게 만드는 에너지의 발원지이기도 하지만 이렇게 부작용도 따른다. 양날의 검인 것 같다🥲 12월 8일에 사전 점수 공개인데 시험을 마치고 "점수 공개까지 어떻게 기다리냐..."라고 생각했다. 이글을 쓰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