🚩1. Entity-Relationship Diagram
- 현실세계의 요구사항을 분석해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할 때 사용되는 다이어그램이다.
- 개체(Entity), 속성(Attribute), 관계성(Relationship)을 표현한다.
📌 1-1. 개체(Entities)
- 표현할 정보를 가지고 있는 독립적인 객체 또는 실체
- 정의 가능한 사물 또는 개념을 의미한다.
-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이 엔티티로 표현된다.
- 사용자정보, 책정보, 계좌정보
📌 1-2. 속성(Attributes)
- 속성은 개체(Entity)가 지니고 있는 특성 혹은 성질이다.
-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의 각 필드(컬럼)들이 엔티티 속성이다.
- 학생정보의 학번, 이름, 학년, 학과 등이 학생 엔티티의 속성이다.
📌 1-3. 속성 도메인(Attribute Domain)
- 해당 속성이 가질 수 있는 속성의 값, 타입, 제약, 제약사항을 말한다.
- 국어점수의 도메인: 0~ 100 범위의 정수값
- 성별의 도메인: '남', '여'
- 성적의 도메인: '수', '우', '미', '양', '가'
📌 1-4. 관계성(Relationship)
- 개체(Entity)들 간의 관계를 표현한다.
- 관계가 존재하는 두 엔티티 사이에는 한 엔티티에서 다른 엔티티의 몇개의 객체와 대응되는지 표시할 수 있다.
- 관계의 차수(Cardinality)
- 1:1 관계
- 학생과 신체 정보는 1:1로 매칭된다.
- 1:N 관계
- 하나의 부서는 여러 직원을 가질 수 있다.
- N:N 관계
- 영화는 여러 배우를 캐스팅하고, 배우는 여러 영화에 출연한다.
- 1:1 관계